급여 체불 뜻 – 월급날이 사라졌다? 내 돈을 찾는 법
"월급날인데 통장이 텅 비었다?"
평범한 직장인 B 씨는 매달 10일을 손꼽아 기다린다. 바로 월급날 때문이다. 하지만 이번 달, 예상했던 입금 알람이 오지 않았다. "아, 뭐지? 실수인가?" 하고 기다렸지만, 사장은 "이번 달 사정이 안 좋아서 다음 주에 줄게."라고 말했다.
그렇게 일주일이 지났고, 결국 월급은 감감무소식. B 씨는 카드값과 월세를 걱정하며 밤잠을 설쳤다.
이처럼 급여 체불은 한순간에 직장인의 삶을 흔들어놓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. 혹시라도 이런 상황을 겪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오늘은 급여 체불의 정확한 의미, 지연 이자, 그리고 돈을 100% 받을 수 있는 꿀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1. 급여 체불 뜻 – 내 월급을 안 준다면?
✅ 급여 체불이란?
급여 체불이란 사업주가 정해진 날짜까지 근로자에게 월급을 지급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.
✔ 급여 체불에 해당하는 경우
- 정해진 월급날이 지나도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
- 퇴사했는데도 퇴직금을 안 주는 경우
- 연장·야간·휴일 근무를 했는데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
즉, 월급·퇴직금·각종 수당이 법적으로 지급되어야 할 날짜에 입금되지 않으면 급여 체불에 해당합니다.

2. 급여 체불 당하면 기다려야 할까? (지연 이자 받는 법)
월급을 못 받았다면 무조건 기다려야 할까요? 아닙니다!
급여가 밀릴 경우, 지연 이자(연 20%)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체불 임금 지연 이자란?
사업주가 기한을 넘겨 임금을 지급하면, 근로자는 그 기간 동안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지연 이자율
- 2019년 7월 이후: 연 20% 적용
- 3년 이내 청구 가능 (그 이후에는 소멸)
✔ 지연 이자 적용 기준
- 월급: 지급 예정일 다음 날부터
- 퇴직금: 퇴직한 다음 날부터 14일 이후부터 적용
📌 예시: "월급이 한 달 늦게 들어왔다면?"
- 월급 300만 원 × 연 20% = 60만 원의 연 이자 발생
- 한 달이면 약 5만 원(60만 원 ÷ 12개월) 추가 지급 가능
👉 급여를 늦게 받을 경우, 반드시 '지연 이자'까지 함께 요청하세요!

3. 급여 체불 대처법 (100% 돈 받는 법)
급여가 밀리면 즉각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✅ 1단계: 사장에게 공식적으로 급여 요청
- 문자, 이메일, 카카오톡 등을 통해 지급 요청을 남기고 증거를 확보합니다.
- 동료들과 함께 요청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
✅ 2단계: 고용노동부에 신고
- 국번 없이 1350 (고용노동부 고객센터)
-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고 가능
- 가까운 노동청 방문 접수
✔ 신고 후 절차
- 노동청이 사업주에게 임금 지급 명령
- 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으면 검찰 기소 (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)
✅ 3단계: 사업주가 돈을 못 줄 경우 – 국가가 대신 지급!
사업주가 정말 돈이 없거나, 회사가 망했다면?
👉 체불 임금 대지급금 제도를 활용하면 국가가 대신 지급해 줍니다!
✔ 대지급금 신청 대상
- 퇴직 후 2년 이내
-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
👉 노동청에 신고하면 대지급금 신청 방법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
4. 급여 체불, 예방할 수 있을까?
급여 체불을 겪지 않으려면 입사 전부터 체크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.
✔ 입사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
-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회사인가?
- 고용보험,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가?
- 과거 급여 체불 이력이 있는 회사인가? (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)
✔ 급여일에 월급이 안 들어오면?
- 사장의 태도를 확인하고 즉시 지급 요청
- 계속 미룬다면 바로 노동청 신고 준비
- 법적 대응을 위한 증거 확보
마지막 내 월급은 내가 지킨다!
급여 체불은 절대 가볍게 넘어갈 일이 아닙니다. 한 달 월급이 체불되는 순간, 생계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죠.
📌 급여 체불 대처법 요약
✅ 사장에게 공식적인 급여 지급 요청 (문자·이메일 남기기)
✅ 노동청에 신고 (고용노동부 1350)
✅ 14일 이상 미지급 시 연 20% 지연 이자 요구 가능
✅ 사업장이 망했으면 국가 대지급금 신청
급여 체불은 불법이며, 근로자는 당당하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.
혹시라도 급여 체불을 겪고 있다면, 지금 바로 실천해 보세요!